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활절 의미

생활정보

by 1@2$3%8&9 2021. 4. 4. 08:33

본문

부활절  의미

부활절

 

부활절은 가장 의미 있는 기독교의 축일 가운데 하나로써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처형을 당한 후 셋째 날에 부활한 것을 축하하는 날이다.

 

따라서 부활절은 가장 오래된 기독교의 의식 가운데 하나이다.

 

하지만 이 날은 사실상 서로 다른 3개의 종교적 전통이 매력적으로 혼합된 것이다.

 

 

즉, 부활절 행사는 기독교의 전통과 유대교, 그리고 이교도의 전통이 혼합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성 베다(St. Bede)에 의하면 부활절, 즉 ‘이스터(Easter)’란 말은 앵글로 색슨 족의 봄과 다산의 여신인 이스터(Eostre)에서 나온 것인데, 4월은 원래 이 여신에게 바치는 달이었다.

 

이스터 여신의 축제는 낮과 밤의 길이가 동일한 날인 춘분에 행해졌다.

 

초창기의 영국 교회에서는 지역 고유의 전통을 새 달력에 통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면서 ‘이스터(Easter)’를 이 축제일의 이름으로 선택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스터’의 기원은 독일의 ‘오스테르(Oster)’에서도 나타난다.

 

하지만 다른 기독교 국가에서는 부활절에 과거 히브리 민족의 뿌리와 연관된 축제일의 이름을 붙였다.

 

프랑스의 빠스끄(Paque), 이탈리아의 빠스꾸아(Pasqua), 그리고 스페인의 빠스꾸아(Pascua)는 모두 유대인의 명절인 파스카, 즉 파스카(pascha)와 관련이 있는 이름들이다.

 

파스카는 이스라엘 민족이 300년 간 지속된 이집트의 억압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로써, 그리스도가 그의 제자들과 나누었던 ‘최후의 만찬’에 나오는 음식들이 파스카 음식과 가장 유사하다.

 


서기 100년경까지 부활절은 그다지 감동적인 축제의 형태를 갖추지는 못했지만, 중요한 축제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해가는 시기였다. 하지만 동방교회와 서방교회는 부활절을 언제로 해야 할 지에 대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

 

당시 동방교회에서는 파스카 의식에 기초한 평일에 찬성표를 던지며 이를 강하게 주장한 반면, 서방교회는 부활절처럼 중요한 축일은 언제나 일요일이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다.

이 문제가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325년에 콘스탄티누스(Constantine) 황제는 이 문제를 니케아(Nicaea) 공의회에 상정했다. 이 회의에서는 다른 현안도 조정했지만, 부활절은 반드시 일요일에 지내야 한다고 결정했다.

 

 

덧붙여서 단순히 일요일이 아니라, 춘분 후 첫 번째 보름달이 뜬 다음의 일요일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오늘날 부활절은 3월 21일 이후 보름달이 뜨는 첫날에 열리는 ‘감동적인 축제’이다.

 

따라서 3월 22일에서 4월 25일 사이의 모든 일요일이 다 부활절이 될 수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부활절은 종교에 앞서 소소한 상징과도 연계되면서 그 모습이 바뀌어갔다.

 

달걀, 병아리, 토끼, 사탕 등 부활절 축제에서 사용되는 모든 것들이 부활과 함께 봄을 약속하는 달콤한 상징들이기도 하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