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하드포크(Hard Fork) 필요성

금융정보

by 1@2$3%8&9 2021. 4. 23. 21:25

본문

하드포크(Hard Fork)  필요성

 

하드포크

 

하드포크(Hard Fork)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이 어느 한 시점에서 급격하게 변경되는 것을 뜻한다.

 

블록체인이 두 갈래로 나뉘는 것이다.

 

개발자들은 이전 버전의 프로토콜에서 심각한 보안상 취약점을 발견했을 때, 혹은 소프트웨어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하려 할 때 하드포크를 한다. 

 

하드포크로 인해 신규 암호화폐가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이는 암호화폐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드포크(Hard Fork)'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이 어느 한 시점에서 급격하게 변경되는 것을 뜻한다. 

 


하드포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블록체인(Blockchain)'에 대한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 

 

블록체인은 일종의 '신뢰 프로토콜'이다. 블록체인에서 이뤄지는 모든 거래 데이터는 공공 거래장부에 기록된다.

 

그리고 이것은 모든 참여자의 컴퓨터(노드)에 분산 저장된다.

 

거래가 이뤄질 때마다 블록(Block)이 생성되고, 거래 내역이 담긴 블록들은 잇따라 연결(Chain)된다.

 

어느 한 노드의 데이터가 위·변조돼도 다른 노드에 해당 데이터가 남아있어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하드포크는 잇따라 연결된 체인이 어느 한 시점에서 두 갈래로 쪼개지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개발자들이 기존 소프트웨어 소스코드를 통째로 복사해 독립적인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 하드포크가 발생한다. 

 

이제 두 갈래의 체인이 있다. 기존 체인과 하드포크로 생긴 새로운 체인이다. 

 

새로운 체인의 경로를 따를 참여자는 소프트웨어를 최신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하드포크를 일종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라고 설명할 수도 있다.

 

 

개발자들은 이전 버전의 소프트웨어에서 심각한 보안상 취약점을 발견했을 때, 혹은 소프트웨어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하려 할 때 하드포크를 한다.
 
보안상 취약점이 발견돼 하드포크가 일어난 대표적인 예가 이더리움 하드포크다. 

 

2016년 6월 17일 해커들이 이더리움 보안의 취약점을 찾아내, 이더리움 코인인 이더(ETH) 약 360만 개를 해킹해 자신들의 전자지갑으로 옮겨버렸다.

 

당시 이더 가격으로 600억 원어치가 도난당한 사건이다. 해킹이 발생하자 이더의 가격은 급락했다. 

 

 

이더리움재단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2016년 7월 20일 프로토콜을 업그레이드했다. 

 

즉, 하드포크를 진행해 성공했다. 하드포크의 성공 여부는 참여자들의 과반수 지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당시 이더리움 블록체인 참여자의 85% 이상이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해 하드포크로 생긴 새로운 갈래가 공식 이더리움 블록체인이 된 것이다. 

 

 

이 사건은 이더리움클래식(ETC)의 등장 배경이기도 하다. 당시 하드포크에 동의하지 않은 개발자 그룹이 있었는데 이들은 따로 기존 갈래에 잔류했다.

 

그리고 하드포크에 성공한 지 3일 뒤인 7월 24일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인 폴로닉스에 이더리움클래식(ETC)을 기습 상장했다.



2017년 10월 16일 이더리움재단이 '비잔티움 하드포크'를 진행해성공했다.

 

이 성공으로 이더리움은 4단계 개발 로드맵 중 3단계에 해당하는 '메트로폴리스'(Metropolis) 단계에 진입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